📌 전문직, 왜 인기 있을까?
일반적으로 전문직이라는 것은 높은 연봉, 안정적인 직업군, 그리고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직업으로 많은 사람들이 도전하는 분야입니다. 회사를 다니면서도 회사에 싫증을 느끼거나 답답함 또는 더 높은 연봉을 원할 때 전문직에 도전하시는 분들이 계시죠. 그러나 전문직 자격증을 따는 과정은 매우 험난하며, 합격률도 낮은 편입니다.
오늘은 (2024년기준)대한민국 8대 전문직 시험 합격률과 각 직업별 평균 연봉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대한민국 8대 전문직 시험 합격률 (2024년 기준)
직업 | 1차 합격률 | 1차 응시자 | 1차 합격자 | 2차 합격률 | 2차 응시자 | 2차 합격자 |
변호사 | 53.04% | 3,290명 | 1,745명 | - | - | - |
변리사 | 20.07% | 3,071명 | 607명 | 17.40% | 1,149명 | 200명 |
공인노무사 | 22.39% | 9,602명 | 2,150명 | 8.96% | 3,682명 | 330명 |
법무사 | 10.17% | 3,933명 | 400명 | 10~20% | - | - |
공인회계사 | 20.88% | 14,472명 | 3,022명 | 28% | 4,458명 | 1,250명 |
세무사 | 17.15% | 18,842명 | 3,233명 | 13.15% | 5,437명 | 715명 |
감정평가사 | 23.28% | 5,755명 | 1,340명 | 7.31% | 2,667명 | 195명 |
관세사 | 25.42% | 1,499명 | 381명 | 14.83% | 607명 | 90명 |
위 데이터를 보면 대부분의 전문직 시험은 1차 합격률은 20% 전후, 2차 합격률은 10% 이하로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전문직 자격을 얻기 위해선 긴 시간 동안 공부해야 하는 고난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 각 전문직 평균 연봉
이제 각 전문직별 평균 연봉을 살펴볼까요? 💸
🏛 변호사 (Lawyer)
평균 연봉: 약 1억 2,000만 원
연차별 차이: 신입 변호사 연봉 5,000만 원~7,000만 원 / 경력 변호사 2억 원 이상 가능
변호사는 법률 자문, 소송 대리, 기업 법무 등을 수행하며, 로펌에 취업하거나 개인 사무실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대형 로펌일수록 연봉이 높으며, 상위 1% 변호사는 연 10억 원 이상을 버는 경우도 있습니다.
⚖️ 변리사 (Patent Attorney)
평균 연봉: 약 1억 원
주요 업무: 특허 출원, 지적재산권 보호, 기술 라이선싱
변리사는 주로 기술 및 특허 관련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입니다.
기업에서 연구 개발을 진행할 때 특허 출원과 보호를 위해 변리사를 고용하며,
특히 화학·전기·전자·AI 분야 변리사의 수요가 높습니다.
👷 공인노무사 (Labor Attorney)
평균 연봉: 약 8,000만 원~1억 원
주요 업무: 노동법 자문, 기업 인사·노무 관리
공인노무사는 노동법과 관련된 전문성을 갖추고 기업 HR 컨설팅을 수행합니다.
노동법 이슈가 증가하면서 최근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는 직업군 중 하나입니다.
📜 법무사 (Judicial Scrivener)
평균 연봉: 약 7,000만 원
주요 업무: 부동산 등기, 민사 서류 작성, 상속 절차 대행
법무사는 등기 및 행정 관련 법률 업무를 다루며, 주로 부동산 거래 및 상속 분야에서 활약합니다.
📊 공인회계사 (CPA)
평균 연봉: 약 1억 2,000만 원
주요 업무: 기업 감사, 회계 컨설팅, 세무 자문
공인회계사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검토하고 감사하는 역할을 하며,
대형 회계법인, 금융회사, 컨설팅업체에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 세무사 (Tax Accountant)
평균 연봉: 약 1억 원
주요 업무: 기업 및 개인 세금 신고 대행, 절세 전략 수립
세무사는 세금 신고 및 조정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며,
법인 및 개인 사업자들의 절세 전략 컨설팅을 담당합니다.
🏠 감정평가사 (Real Estate Appraiser)
평균 연봉: 약 8,000만 원~1억 원
주요 업무: 부동산 감정평가, 공시지가 산정
감정평가사는 부동산 가치 평가를 전문으로 하며,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과 맞물려 경기 영향을 크게 받는 직업입니다.
📦 관세사 (Customs Broker)
평균 연봉: 약 7,500만 원
주요 업무: 수출입 관련 세관 신고 및 무역 컨설팅
관세사는 글로벌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전문직입니다.
특히 FTA, 무역협정, 해외 거래 증가로 인해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업입니다.
🧐 전문직, 정말 안정적일까?
전문직은 일반적으로 높은 연봉과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1. 시험 준비 기간이 길고 난이도가 높음
2. 업무 강도가 높고 스트레스가 많음
3. 시장 변화에 따라 직업군 전망이 달라질 수 있음
따라서 단순히 연봉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본인의 적성과 직업 전망을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론: 나에게 맞는 전문직은?
📌 전문직 시험을 준비하는 분이라면,
✅ 시험 난이도 & 합격률을 고려해 현실적인 목표 설정
✅ 해당 직업이 본인의 성향과 맞는지 충분히 고민
✅ 연봉뿐만 아니라 워라밸 & 직업 만족도도 체크
지금 도전하고 있는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
'직장인으로 사는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플러스 기업 회생 위기,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4) | 2025.03.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