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돌아온 트럼프, 그리고 관세 전쟁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세계의 경제를 쥐었다 폈다가 하고 있죠.
전략적으로 관세를 때리겠다 말겠다 유예하겠다 하면서 이미 가진 주도권을 더 가지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집권하던 1기,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외치며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는 단순한 무역 정책을 넘어서
글로벌 공급망 전체를 흔드는 구조적 변화를 만들어냈습니다.
그 영향은 배터리 산업에서도 그대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의 배터리 기업들이 미국 시장 진입에 제동이 걸린 반면,
한국의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전략적으로 미국 내 직접 생산 투자에 나서면서 급부상하게 됩니다.
본론 ① : 미국에 공장을 세운 한국 기업들
아래는 2025년까지의 미국 내 배터리 생산 CAPA(생산능력) 현황입니다.
기업합작사지역생산CAPA(GWh)양산 시작
LG에너지솔루션 | GM, 혼다 외 | 미시간, 오하이오 등 | 322GWh 이상 | 2022~2026 |
SK온 | 현대차, 포드 등 | 조지아, 테네시 등 | 171GWh 이상 | 2022~2026 |
삼성SDI | GM, 스텔란티스 | 인디애나 | 97GWh 이상 | 2025~2027 |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 단독 | 40 | 현재 5GWh, 2026년부터 40GWh 확대 |
오하이오 (얼티엄셀즈 1공장) | GM | 40 | 가동 중 (2022~) |
테네시 (얼티엄셀즈 2공장) | GM | 50 | 가동 중 (2024~) |
미시간 (얼티엄셀즈 3공장) | GM | 50 | 2025년 상반기 양산 |
캐나다 온타리오 | 스텔란티스 | 49 | 2025년 상반기 양산 |
오하이오 | 혼다 | 40 | 2025년 말부터 양산 |
애리조나 | 단독 | 53 | 2026년부터 양산 |
SK온
조지아 | 현대차 | 30 | 2025년 말부터 양산 |
조지아(1공장) | 단독 | 10 | 가동 중 (2022~) |
조지아(2공장) | 단독 | 12 | 가동 중 (2023~) |
테네시 | 포드 | 43 | 2025년부터 양산 |
켄터키(1공장) | 포드 | 43 | 2025년부터 양산 |
켄터키(2공장) | 포드 | 43 | 2026년부터 양산 |
삼성SDI
인디애나(1공장) | 스텔란티스 | 33 | 2025년 상반기 양산 |
인디애나(2공장) | 스텔란티스 | 34 | 2027년부터 양산 |
인디애나 | GM | 30 | 2026년 양산 |
※ 출처: 각사 보도자료 및 언론 정리
총 CAPA만 계산해봐도, **한국 기업은 미국 내 생산능력의 약 76.8%**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2년과 2023년 판매량 기준 점유율(36.2% → 42.4%)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진 수치입니다.
관세 전쟁의 반사이익, 한국이 얻은 기회
트럼프는 집권 당시 중국산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이는 아이러니하게도 중국 기업들의 미국 진출을 막는 결과를 낳았고,
결국 생산과 기술을 갖춘 한국 기업들이 미국 전기차 공급망의 중심에 서게 되었습니다.
즉, 정치적 리스크가 적고 기술 경쟁력이 높은 국가로
한국이 자연스럽게 “대안국” 역할을 하게 된 셈이죠.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한국 기업의 전략
2022년, 바이든 행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표하며
미국 내 생산되는 전기차/배터리에 대해서만 세금 혜택을 주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또한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였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 혼다, 스텔란티스 등 다양한 기업과 합작사를 세우며
광범위한 미국 내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SK온은 포드·현대차와 함께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삼성SDI도 인디애나에서 두 개의 합작 공장을 가동 예정입니다.
일본·중국은 왜 뒤처졌나?
2022~2023년까지는 일본이 배터리 판매량 기준 1위(48% → 40.7%)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 전망에서 생산 CAPA는 23.2%로 뚝 떨어집니다.
▶ 일본은 현지 생산 투자에 소극적이었고,
▶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속에 정치적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2025년이 되면
▶ 한국은 미국 내 배터리 시장에서 ‘실질적인 1강’ 위치를 확보하게 됩니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역설적으로 한국에 기회였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단기적으로는 혼란을,
장기적으로는 공급망 재편의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그 틈을 정확히 파고든 것이 한국의 배터리 기업들이었고,
선제적 투자 + 현지화 전략을 통해
지금은 미국 전기차 산업의 핵심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 마무리 한줄
관세 전쟁은 누군가에게는 위기였고, 한국 배터리 기업에게는 기회의 문이었습니다.
철강과 다른 제조업에서는 중국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둔 회사에게는 지금 관세 전쟁은 재앙과 다름 없습니다.
그래도 이 기회를 살려서 미국에 투자를 한 기업들에게는 또 다른 기회가 된 거 같습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화마, 재앙의 끝은 어디일까 (1) | 2025.03.26 |
---|---|
듀프(DUPE)?? 명품인가 짝퉁인가? (2) | 2025.03.14 |
🌸 2025년 벚꽃 개화 시기 & 전국 벚꽃 명소 총정리! (1) | 2025.03.13 |
🔎 신한은행 직원의 17억 횡령 사건, 은행 내부 비리는 계속될까? (2) | 2025.03.12 |
[충격] 올해만 몇 개째? 한국 떠나는 브랜드 총정리! (7) | 2025.03.07 |